Vibe.ai
반응형
article thumbnail
(수정중)주소지정방식
Infra & DevOps📌 2022. 10. 9. 20:35

의미주소지정방식 즉치주소지정방식 직접주소지정방식 간접주소지정방식 레지스터주소지정방식 레지스터간접주소지정방식 상대 주소 지정 방식 (Relative Address Mode) Program Counter (PC) 값에 명령어의 주소 필드의 값을 더해서 유효주소를 구하며, 분기 명령어 근처에 분기될 위치가 있는 경우 흔히 사용된다. - 직접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 -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주소에 변위를 더해야만 한다. - 상대주소지정밥법은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 방법이다. 따라서 직접주소지정방법에 비하면 이해하기가 어렵다. 전체 기억장치 주소가 명령어에 포함되어야 하는 일반적인 분기 명령어보다 적은 수의 비트만 있으면 되는 것이 장점이다. 인덱스 주소 지정 방식 (Indexed Addre..

파스칼 - PASCAL 언어(프로그래밍 언어)
Studying📑 2022. 9. 29. 10:54

program Hello; begin writeln ('Hello, world.'); end. PASCAL LANGUAGE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로, 분류상 C와 비슷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에 속한다. 해당 언어는 대학교 등에서 알고리즘등을 배울때 사용한다. 🙄파스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 - 빵집 - skype - 위저드리 - FL studio 등 하지만 초기버전이 만들어진것이 대부분이고 64비트 호환성등의 문제가 있다. 역사 1970년에 스위스의 니클라우스 비르트(Niklaus Wirth)가 개발했다. 문법 설계가 깔끔하기 때문에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구현하고 설명하기에 알맞아서 교육용 언어로 분류된다. 실제로 1990년대 후반까지 미국의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서 가장 널리 ..

article thumbnail
[oracle] SELECT 1 FROM 테이블명;
BackEnd & DB🧵 2022. 8. 30. 15:50

SELECT 1 FROM TABLE; SELET 문에 1을 사용하면 해당 테이블의 갯수만큼 1로된 행을 출력한다. 테이블의 행수가 N개이면 1이 N개 행 반환된다. 여기에서 1은 TRUE를 의미 WHERE 조건문과 함께 쓰면 해당조건을 만족하면 1을 반환함

Fk 설정시
BackEnd & DB🧵 2022. 8. 24. 14:17

1. DELETE / MODIFIED Action : CASCADE, Set Null, Set Default, Restrict CASCADE : Master 삭제 시, Child도 같이 삭제 Set Null : Master 삭제 시, Child 필드 null Set Default : Master 삭제 시, Child 필드 Default 값으로 대체 Restrict : Child 테이블에 PK가 없는 경우에만 Master 삭제 허용 No Action : 참조무결성 위반 시 삭제/수정을 하지 않음. 아무런 조치 X 2. Insert Action : Automatic, Set Null, Set Default, Dependent Automatic : Master 테이블에 PK가 없는 경우, Master 테이블에..

article thumbnail
SQL SERVER / ORACLE – TOP(N)/ROWNUM 에서 ORDER BY 순서
BackEnd & DB🧵 2022. 8. 24. 14:16

다음과 같은 테이블이 있을 때 SQL SERVER 와 ORACLE 에서 상위행을 가져오는 쿼리를 날렸을때 수행순서는 다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TOP(N)은 ORDER BY 후에 상위 N행을 출력하고 ROWNUM은 상위N개로 뽑은뒤에 ORDER BY를 수행한다. 예제로 알아보자. SQLSERVER 에서의 TOP(N) SELECT * FROM AA; SELECT TOP(3) NAME FROM AA ORDER BY NAME DESC; 수행결과 ORACLE 에서의 ROWNUM SELECT NAME FROM AA WHERE ROWNUM

EXISTS, NOT EXISTS 란?
BackEnd & DB🧵 2022. 8. 24. 14:15

오라클에서 EXISTS( ) 함수를 처음 접하면 조금 어려움 느낌이 들 수도 있다. EXISTS를 사용하지 않아도 비슷한 결과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이 많기 때문에, EXISTS에 대해 자세히 익히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EXISTS(서브 쿼리)는 서브 쿼리의 결과가 “한 건이라도 존재하면” TRUE 없으면 FALSE를 리턴한다. EXISTS는 서브 쿼리에 일치하는 결과가 한 건이라도 있으면 쿼리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아래의 샘플 테이블을 참고하여 예제 쿼리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4 5 6 7 8 SELECT a.empno , a.ename , a.deptno FROM emp a WHERE a.job = 'MANAGER' AND EXISTS (SELECT 1 FRO..

식별자란?
BackEnd & DB🧵 2022. 8. 24. 14:15

식별자란? 여러개의 집합체를 담고 있는 하나의 통에서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 논리적인 이름의 구분자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엔터티에 구성되어 있는 여러개의 속성 중에 엔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을 의미하며 하나의 엔터티는 반드시 하나의 식별자가 존재해야 합니다. 식별자의 특징 1. 유일성 :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 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구분 2. 최소성 :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 수가 되어야 함 3. 불변성 : 주식별자가 한 번 특정 엔터티에 지정되면 그 식별자의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함 4. 존재성 : 주식별자가 지정되면 반드시 데이터 값이 존재해야함 식별자 분류 분류 식별자 설명 대표성 여부 주식별자 엔터티 내에서 각 어커런스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이며, 타..

article thumbnail
엔터티의 개념 및 특징
BackEnd & DB🧵 2022. 8. 24. 14:14

1. 엔터티의 개념 정의 –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Thing) – 업무 활동상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대상으로서 그 대상들 간에 동질성을 지닌 인스턴스들이나 그들이 행하는 행위의 집합 1) 엔터티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의 명사에 해당한다. 2) 엔터티는 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에 해당한다. 3) 엔터티는 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Thing)이다. 2. 엔터티와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위의 예에서 1) 엔티티 : 과목, 강사, 사건 2) 각 엔터티의 인스턴스 – 과목 엔터티의 인스턴스 : 수학, 영어 – 강사 엔터티의 인스턴스 : 이춘식, 조시형 이를 IE 표기법, Barker 표기법으로 표현 하면 다음과 같다. 3. 엔..

article thumbnail
스키마란 무엇인가? (3계층 스키마)
BackEnd & DB🧵 2022. 8. 24. 14:14

스키마란 무엇일까?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메타데이터의 집합이다. DB의 구조(개체, 관계)와 제약조건을 명세해야 한다. 이를 명시하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 있게 만들기 위한 필요 조건이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및 데이터 조작 시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정의한다.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나뉘어지며, 이렇게 나누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의 독립성을 위해서이다. 반복적으로 이야기 하지만 데이터 독립성은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논리적 구조를 변경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말..

article thumbnail
계층형 쿼리란?
BackEnd & DB🧵 2022. 8. 24. 14:14

계층형 쿼리란 테이블에 계층형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이다. SQL-D 시험 공부를 할 때, 정말 읽는 것만으로는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이 계층형 쿼리였다. 따라서 글을 쓰면서 다시 정리해본다. 1. 계층형 데이터 계층형 데이터란 동일 테이블에 계층적으로 상위와 하위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말한다. 예시로 들어볼 하드웨어의 계층적 구조이다. 다음과 같이 상위와 하위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계층형 데이터라고 한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입력장치의 상위 데이터는 하드웨어이며, 하드웨어의 하위 데이터는 위의 세 개이다. 이를 테이블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2. 계층형 쿼리의 형태 1 2 3 START WITH 조건 CONNECT BY [NOCY..

반응형